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소통

연구보고서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2024년] 행태개선을 통한 가정부문 넷제로 리빙랩 연구

  • 분류정책과제
  • 작성자탄소중립지원센터
  • 작성일2025.02.06 16:56
  • 조회수133
  • 연구명행태개선을 통한 가정부문 넷제로 리빙랩 연구
  • 연구기간2024. 3. ~ 12.
  • 연구책임김태호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발생량(BAU, Business As Usual)의 37% 감축 목표를 국제사회에 공표함

  ○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법」을 제정 및 시행하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중

  ○ 우리나라 가정부문 총에너지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광주광역시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75%)이 비산업부문인 건물과 수송에서 배출되어, 탄소중립을 위한 시민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실천이 적극 필요

  ○ 넷제로 리빙랩 연구는 가정부문 에너지 사용 행태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분석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찾아내 후속연구와 정책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함



□ 주요 내용

  ○ 행태개선(에너지 수요 관리)을 통한 가정부문 넷제로 리빙랩 연구는 공동주택 100세대를 대상으로 6개월간 전기, 가스, 물, 음식물쓰레기 저감을 위해 노력함

  ○ 행태개선을 통한 가정부문 온실가스 감축 효과 결과, 6개월간 총 1,399kgCO2eq.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탄소흡수원 나무 582그루 식재효과)

    - 전기 1.97%(1,199kgCO2eq.) 증가, 가스 4.72%(954kgCO2eq.) 감소, 물 11.49% (189kgCO2eq.) 감소, 음식물 쓰레기 29.18%(1,455kgCO2eq.) 감소

    - 전기소비량 증가 원인은 기후변화 영향(폭염)으로 냉방수요 증가(전년 대비 9.44% 증가, 광주)

  ○ 에너지 소비 결정요인

    - 주거환경요인과 에너지 소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저층 세대, 취사횟수의 증가, 가구원수 증가, 고소득 가구 일수록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함

    - 월세의 주거형태,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에너지 소비량이 작게 나타남



□ 정책적 시사점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시민참여 기반 강화 및 넷제로 리빙랩 모델 확대

    - 시민이 온실가스 감축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넷제로 리빙랩 효과를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홍보하여 탄소중립 공감대 형성 및 시민주도의 온실가스 감축 활동 강화

    - 에너지 소비 결정요인을 반영한 추가 시범사업을 통해 광주광역시 주거 형태와 인구 특성을 반영한 온실가스 감축 최적화 모델을 개발하여 탄소중립 실천 제고

  ○ 탄소중립 맞춤형 정책 지원

    -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감축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 및 분서갛여 관련 정책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개선 방안과 세부적인 정책 발굴 필요

    - 주거환경요인과 가구형태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 맞춤형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수립하여 가정부문 최종에너지 소비 절감 기여



□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추진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사례 고찰

   1. 기후변화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2. 최종에너지 소비 현황

   3. 행태개선 및 넷제로 리빙랩

   4. 국내·외 사례 고찰


제3장. 가정부문 탄소중립 이행 모델 설계 및 실증

   1. 넷제로 리빙랩 연구 대상

   2. 온실가스 진단 컨설팅

   3. 가정부문 행태개선 미션

   4.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제4장. 행태개선을 통한 가정부문 온실가스 감축 효과 및 에너지 소비 결정요인 분석

   1. 행태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효과

   2. 주거환경요인 및 가구형태의 온실가스 배출 관계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부록 

  1. 보고회 자문의견 및 반영사항

  2. 에너지사용량(전기, 가스, 물) 및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3. 참고문헌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경영기획실
  • 담당자 김선영
  • 연락처 062-601-131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선택

0/100

평균 5.0 1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