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대한민국 정부와 광역지자체는 2024년 4월 제1차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수립,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발표
○ 광주광역시는 2045년 탄소중립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새로운 정책이 필요한 상황
○ 17개 시·도에서 수립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비교·분석해 광주광역시에 적용할 수 있는 신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함
□ 주요 내용
○ 국가 탄소중립 정책 동향
- 제1차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계획(2009)에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자립, 신성장동력 창출 등의 추진 전략 및 10대 정책 방향 제시
-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전략(2020)에서 2050 탄소중립 5대 기본 방향으로 깨끗하게 생산된 전기・수소의 활용 확대, 에너지 효율의 혁신적인 향상 등을 제시
- 제1차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에서 책임있는 실천, 질서있는 전환 등의 3대 정책 방향과 함께 4대 전략 및 12대 과제를 제시
○ 지자체 탄소중립 정책 사례
- 건물: (공통)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 그린리모델링, (특별)서울의 환경영향평가 신축 민간 건축물 ZEB 도입, 제주의 야간 영업 미운영시 쇼윈도, 간판 등
- 수송: (공통)탄소중립포인트제 운영, 친환경자동차 보급, (특별)울산의 택배용 전기화물차 보급, 대전의 대전형 도심교통항공 구축 등
- 농축산: (공통)친환경 농업 확대, 에너지절감 시설 지원, (특별)대전의 도심 공실 활용 스마트팜 조성사업, 경남의 저탄소 벼 논물 관리 기술 보급 시범사업 등
- 폐기물: (공통)생활자원 회수 시설 설치, 음식물쓰레기 종량기/감량기 보급, (특별)부산의 커피찌꺼기 자원화 프로젝트 사업, 충남의 충남 통합형 다회용기 세척 및 회수 시스템 구축 등
○ 시사점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과 협력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 접근 필요
- 지역의 산업 구조, 인구, 환경 조건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통해 감축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 가능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지역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여 기술 공유, 성공 사례 전파, 재정 지원이 필요
□ 정책 제언
○ 신규과제 10개를 제안
- 공급기반 가상발전소 구축
- 영농형 태양광 보급
- 히트펌프 보급
- 건축 에너지 신고 등급제 도입
- 아파트 승강기 자가발전장치 설치 지원
- 녹색교통지역 지정
- 친환경 바이오차 지원사업
- 폐배터리 자원화 기술 개발 및 활용
- 1회용품 없는 장례식장 확대
- 친환경 전통시장 조성 사업
□ 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1절 |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 연구 범위 및 방법
제2장. 탄소중립 정책 사례
제1절 | 국가 탄소중립 정책 현황
제2절 | 광역시·도 탄소중립 정책 사례
제3절 | 시사점 도출
제3장. 광역시·도 부문별 정책 분류 및 분석
제1절 | 온실가스 감축대책
제2절 | 기후위기 대응기반 강화대책
제3절 | 광역시·도 정책 종합 분석 의견
제4장. 광주광역시 탄소중립 신규 정책 제안
제1절 | 광주광역시 탄소중립 정책 현안
제2절 | 광주광역시 신규 제안 정책
제5장. 결론
부록
1. 보고회 자문의견 및 반영사항
2.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