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소통

정기간행물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제3호 이슈포커스] 건물 분야 온실가스 감축 핵심수단인 히트펌프와 광주광역시의 활용 방안

  • 작성자기후환경연구실
  • 작성일2025.01.09 15:19
  • 분류이슈포커스
  • 조회수114

건물 분야 온실가스 감축 핵심수단인 히트펌프와 광주광역시의 활용 방안

1. 히트펌프 도입 배경

○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중 건물 부문이 약 25% 차지  
 -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건물부문 온실가스 88.1% 감축 목표 설정  
 - 기존 화석연료 기반 난방 방식에서 탈탄소 전력화 필요  

○ 히트펌프의 중요성

 - IEA(2022), 히트펌프를 글로벌 에너지 안보 및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기술로 평가  
 - 히트펌프는 열을 직접 발생시키지 않고 기존 열원을 활용하여 냉난방 및 급탕 가능  

2. 히트펌프 기술

○ 히트펌프 개요

 - 특정 장소에서 열을 흡수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장치  
 - 전기히트펌프(EHP)와 가스히트펌프(GHP)로 구분됨  

○ 히트펌프 유형

 - 공기열원 히트펌프 : 주변 공기의 열을 활용, 단독주택·아파트에 적합  
 - 수열원 히트펌프 : 하천·호수의 열을 이용, 대형 건물 및 공공시설에 적용 가능  
 - 지열원 히트펌프 : 지중 온도를 활용,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가능  

3. 국내외 동향

○ 해외 동향

 - EU : 2029년부터 화석연료 보일러 생산 중단, 히트펌프 설치 장려  
 - 독일 : 2026년부터 모든 신규 난방의 65%를 재생에너지원으로 공급 의무화  
 - 미국 : 히트펌프 프로젝트에 1억 6,900만 달러 지원  

○ 국내 동향

 -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서 지열·수열 히트펌프를 신재생에너지로 인정  
 - 기존 보일러 대비 히트펌프 전환 시 탄소 배출량 35% 감소  

4. 광주광역시 현황

○ 에너지 소비 및 난방 특성

 - 2022년 화석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 사용 비중 64.7%  
 - 가정용 개별난방 비율 91.3%, 도시가스 사용량 전국 평균 대비 높음  
 - 온실가스 배출량 중 화석연료 비중이 56% 차지  

○ 히트펌프 관련 정책 및 조례

 - 광주광역시 녹색건축물 조성지원 조례  
 - 광주광역시 에너지 기본조례에서 히트펌프 및 폐열 활용 권장  

5. 광주광역시 히트펌프 도입 방향 및 정책 제안

○ 도입 방향

 - 단기(2026년까지) : 히트펌프 실증사업 추진 및 보급 기반 조성  
 - 중기(2028년까지) : 제도 보완 및 사업 관리 체계 구축  
 - 장기(2035년까지) : 제도 완성 및 히트펌프 보급 확대  

○ 정책 제안

 - 신규 영구임대아파트에 공기열원 히트펌프 적용  
 - 중앙난방 아파트의 탈석탄 전력화 추진  
 - 히트펌프 설치 지원금 확대 및 세제 혜택 제공  

목차

  1. 히트펌프 도입 배경
  2. 히트펌프 기술
  3. 국내외 동향
  4. 광주광역시 현황
  5. 광주광역시 히트펌프 도입 방향 및 정책 제안
첨부파일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경영기획실
  • 담당자 이승호
  • 연락처 062-601-131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선택

0/100

평균 0.0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