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소통

정기간행물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제4호 이슈포커스] 시원한 도시 조성을 위한 광주광역시 폭염대응 정책방향

  • 작성자기후에너지연구실
  • 작성일2025.05.12 14:22
  • 분류이슈포커스
  • 조회수120
시원한 도시 조성을 위한 광주광역시 폭염대응 정책방향

1. 국내외 폭염 발생 현황
   •전 세계 폭염 강도·빈도 지속 증가 → WHO ‘21세기 최악 자연재난’ 규정
   •2022년 유럽 사망 61,672명·2023년 47,000명 → 반복적 대륙형 폭염 확산
   •미국 2024년 애리조나 마리코파카운티 폭염 사망 645명·가축 대량 폐사
   •국내 2024년 폭염·열대야 일수 역대 최고 경신 → 온열질환자 급증
   •광주 폭염일수 1975년 6일 → 2024년 37일, 열대야 12일 → 37일, 최고기온 37.2°C
   •광주 온열질환자 2018년~2024년 북구 41%·광산구 25 %·서구 18% 집중

2. 국내외 폭염 관련 기후위기대응 정책 동향
   •(해외 대응 강화) 미국 쿨링센터 확대, 파리 실시간 폭염지도, 런던 기후적응전략
   •(국내 제도화) 2018년 폭염 자연재난 지정 후 쉼터·그늘막·쿨링포그 5,000+ 개소
   •(서울) 폭염종합지원상황실·스마트그늘막 5,080개소 운영
   •(대구) ‘폭염 사각지대 해소’ 플랫폼·쿨루프·노후주택 개선 4대 전략
   •(경기도) 냉방비 22,000+ 가구 지원·옆집형 쉼터·레인가든 통합 사업
   •(광주) 2024년 폭염대응 TF 15명 가동·그늘막 609개소 목표·살수차 20대 운영

3. 광주광역시의 공간정보자료 기반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고해상도 격자 분석) 금남로·충장로·상무·광주역·송정역 폭염 고위험
   •기후노출(폭염일수·열지수)+민감도(노후주택·고령층)+적응능력(쉼터·녹지) 종합지수 구축
   •(도심 상업지·고밀 주거지 열섬 집중) 녹지 부족·쉼터 이용률 저조
   •(버스정류장 취약도 분석) 금남로입구·상무 평균지수 0.30 이상
   •(자치구 별 동단위 평가) 서구 농성1동, 북구 중흥1동, 광산구 신흥동 등 상위권
   •(지도 시각화 결과) ‘열완화 축’ 우선 조성 필요 지역 도출(광주천-지산유수지·황룡강-월계동 완충녹지)

4. 폭염취약성 평가 결과에 따른 광주광역시 대응 방향
   •공간유형별(지구·도로·건물) 맞춤형 열완화 전략 추진
   •취약계층 대상 쉼터 재구조화 및 돌봄·정보 연계 강화
   •기후적응계획 제도화 및 시민참여형 실천 확대
   •KPI(표면온도·온열질환자·쉼터 이용률·시민 만족도)·GIS 기반 모니터링과 정책 성과 환류체계 구축 요약
첨부파일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경영기획실
  • 담당자 이승호
  • 연락처 062-601-131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선택

0/100

평균 0.0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