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소통

보도자료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통합발전소(VPP)' 구축 방안' 토론회 개최

  • 작성자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 작성일시2024/10/31 15:38
  • 조회수90
공공형 통합발전소(VPP) 구축으로 내륙도시 분산자원 활용성 높여야
 -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통합발전소(VPP) 구축 방안’ 토론회 개최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원장 고상연, 이하 ‘진흥원’)은 10월 31일(목),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통합발전소(이하 ‘VPP’) 구축 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전환의 주요 과제인 분산에너지 활성화 및 VPP의 도입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VPP는 분산된 자원(재생에너지, ESS, 전기자동차 등)을 ICT 기술을 활용하여 하나의 통합된 가상 발전소처럼 운영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재생에너지 보급을 촉진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VPP는 재생에너지 확대가 쉽지 않은 대다수 내륙도시의 전력자급율 제고와 전력계통 유연성 자원 확보를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요 과제 중 하나다.

공공기관의 분산자원을 활용한 ‘공공형 VPP’ 구축은 RE100 이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는 선도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공공기관이 VPP 구축에 선도적으로 참여할 경우, 민간부문 참여를 촉진하고 전력거래 시장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토론회는 이상복 진흥원 정책협력위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첫 번째 발제에 나선 한국광기술원 김용현 센터장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으로,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에 따른 수용성과 전력계통의 유연성 향상이 필요하며, 전력 생산과 수요의 실시간 매칭 및 전력거래 솔루션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에너지전환포럼의 진영일 이사는 “호남권 전력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해 계통 유연성 확보가 필요하며, 공공기관의 선도적인 VPP 사업 참여는 민간 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계통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다”며,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역할을 제안했다.

전력거래소 김영환 제주본부장은 “경제적인 탄소중립 발전원 확보와 전력 소비 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지역간 발전력과 소비량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지역별 요금제와 소매시장 개설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GS EPS의 윤호현 팀장은 “전력시장 개편을 통해 VPP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ESS 연계를 통한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남대학교 배정환 교수는 “국내 전력망 분산화와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화, 분산특구 지정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사)넥스트 이주헌 수석정책전문위원은 “내륙도시인 광주-대구의 달빛동맹 프로젝트는 공공기관의 분산에너지 활용 방안으로, 현 시점에서 시의적절한 제안이다”며, 공공기관의 선도적 역할을 강조했다. 광주과학기술원 김진호 교수는 “VPP 구축은 에너지 효율 및 전력 안정성에 기여하며, 이와 함께 지역 특성을 반영한 통합발전소 모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위원장인 양부남 의원을 비롯한 민형배·박균택·안도걸·전진숙·정준호·정진욱·조인철 의원과 조국혁신당 광주시당위원장인 서왕진 의원의 공동주최로 이뤄졌다.

참석한 의원들은 공공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분산자원을 연계한 VPP 구축은 최소한의 경제성만 갖추면 되는 장점이 있으며, VPP 관련 에너지 신산업의 활로 개척에 기여할 것이라며 공감을 표했다.

한편, 진흥원은 올해 4월, 태양광 설비를 증설해 에너지자립률 163%를 달성했고, 건물에너지효율 1+++ 획득에 이어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을 완료하여 제로에너지건물(ZEB) 1등급 인증을 앞두고 있다. 이렇게 되면 지자체 공공건물 중 대수선 없이 1등급을 획득한 최초 사례가 된다.

진흥원은 이 성과를 바탕으로, 사옥 RE100 달성에 이은 무탄소 건물(24/7 CFE) 실현을 목표로 ‘사용 후 배터리 활용 ESS 구축 실증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고상연 원장은 “분산자원 활용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에너지 전환은 시대적 과제”라며, “광주의 에너지 전환 모델이 대한민국 내륙도시의 탄소중립 선도사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경영기획실
  • 담당자 김선영
  • 연락처 062-601-131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선택

0/100

평균 1.0 8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