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홍보소통

보도자료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재)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지역 내 청년 대상 기후위기대응 관련 인식조사 결과 발표

  • 작성자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 작성일시2024/12/27 16:33
  • 조회수34
(재)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지역 내 청년 대상으로 기후위기대응 관련 인식조사
-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 및 청년세대에 미치는 영향 높은 것으로 응답
- 광주광역시 청년, 기후위기 심각성 인식하지만 실제 참여는 저조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원장 고상연, 이하 진흥원”) 최근 지역 청년(19~34) 300(남여 각 150)을 대상으로 광주광역시 청년 기후위기대응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청년층이 기후변화로 인해 겪는 피해와 영향을 조명하고, 광주광역시의 탄소중립 정책에 관한 청년들의 관심도와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5.7%가 기후변화가 청년세대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는데, 기후변화로 인한 주요 피해 요소로는 식량 안보 위기(31.7%), 기후재난으로 인한 주거권 침해(27.3%), 사회적 부담 가중(18.7%) 등이 꼽혔다.

본인의 결혼 및 출산 계획에 기후변화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55.3%가 그렇다고 답하며 많은 청년들이 기후변화 문제를 자신의 삶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에 대해 심각성을 강하게 느끼는 것과 다르게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한 활동 참여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참여한 적 없다고 답한 비율이 81.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기후위기 대응관련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관련 정보나 기회가 부족해서(43.4%),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서(35.1%), 당장 불편함을 감수하기 싫어서(29.8%), 활동을 위한 시간이 부족해서(25.6%) 등을 꼽았다.

 

한편 응답자 전체의 42.0%는 광주광역시가 기후위기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2045 탄소중립도시 달성 목표를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의 절반을 넘는 53.3%의 응답자가 모른다고 답했다. 20244월 수립된 1차 광주광역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관해서도 54.7%가 모르고 있다고 답했다.

 

고상연 원장은 청년들이 기후위기에 대한 심각성은 인지하나 실질적인 참여율은 낮고, 우리 지역의 탄소중립 목표에 대한 인지도 또한 저조하다, “광주광역시 2045 탄소중립 목표를 더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청년들이 지역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 방안을 마련해 가겠다.”고 전했다.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경영기획실
  • 담당자 김선영
  • 연락처 062-601-131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선택

0/100

평균 1.0 8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