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알림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등록된 알림이 없습니다.
12월 17일 ~ 18일(월~화) 2024년도 정책협력위원회 하반기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본 행사는 한국광기술원, 녹색에너지연구원 마이크로그리드 실증단지와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를 견학하여 주요 연구실적과 주요성과를 공유했습니다.
16일(월), 첫 번째 일정인 한국광기술원 방문은 AI에너지연구센터 김용현 센터장은 센터의 주요 연구분야인 ▲센분산자원과 재생에너지 융합 신뢰성 연구, ▲출력제한 해결을 위한 전력운영 시스템 연구, ▲첨단 에너지자급자족 지원사업, ▲지능형 에너지 운영시스템,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 사업 등을 공유하였고, 연구동 견학을 마지막으로 향후 한국광기술원 연구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향후 한국광기술원은 ICT, 인공지능을 연계한 지능형 전력망으로 VPP 실증(지역요금제, 수요자원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연구 계획을 밝혔습니다.
두 번째 일정인 녹색에너지연구원 분산에너지 T/F팀의 김종철 선임연구원이 마이크로그리드 실증단지에 대해 발표해주었습니다.
분산에너지는 DC(직류)의 출력으로 인해 계통연계가 용이하다라는 장점이 있으나 실제 실증사례가 없어 구현한 마이크로그리드로 이종전압(750V/830V)간 계통연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 구축된 마이크로시스템은 나주혁신산업단지 내 독립된 전력망 구축을 통해 산업체별 전력거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향후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시스템에 대한 고도화로 훗날 산업단지의 VPP 시스템 연계 계획을 밝혔습니다.
17일(화), 녹색에너지연구원 태양에너지팀 김근호 선임연구원은 영농형 태양광 실증단지 견학을 통해 연구 목적, 실증 효과, 향후 제도적 개선사항 등을 공유하였습니다.
특히, 영농형 태양광 실증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자연환경의 피해량(태풍, 냉해, 장마, 폭염 등)을 미설치 지역과 비교하여 수확량 및 당도 등을 분석하고 데이터를 추출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과수 작물에 대한 성장도는 미설치 지역 대비 약 2주의 성장속도가 늦지만, 당도는 동일하다는 결과를 도축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수년간 쌓은 연구개발 결과와 추출 데이터 검증을 통해 향후 농식품부의 정책 제안에 활용 예정이라는 계획을 밝혔습니다.